본문 바로가기
IT/pc

엑셀 틀 고정, 첫 행 고정, 첫 열 고정, 취소와 인쇄

2024. 4. 2.
반응형

엑셀 사용 시 기본적으로 알아야 할 것 중 하나가 엑셀 틀 고정입니다. 행과 열을 고정하면 작성한 엑셀표의 내용을 상하좌우로 이동하더라도 엑셀표의 항목별 제목 또는 카테고리를 확인 가능하여 편리합니다. 엑셀의 첫 행 고정, 첫 열 고정, 행과 열을 동시에 틀고정, 취소 및 인쇄하는 방법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엑셀 틀고정 첫 행, 첫 열 고정 취소와 인쇄 글자 삽입한 썸네일
엑셀 틀고정

엑셀 첫 행 첫 열 고정

엑셀표의 첫 행을 고정하는 방법은 보기 클릭 ≫ 틀 고정 클릭 ≫ 첫 행 고정을 클릭하면 됩니다. 

보기, 틀고정, 첫 행 고정 위치
보기, 틀고정, 첫 행 고정

엑셀표의 첫 행을 고정하면 1행의 항목별 제목 또는 카테고리는 고정되어 그대로 유지됩니다. 

첫 행을 고정한 엑셀표의 내용을 상하로 이동하는 모습
첫 행 고정

엑셀표의 첫 열 고정은 첫 행 고정 아래에 있는 첫 열 고정을 클릭하면 됩니다. 첫 행 또는 첫 열을 고정한 후 고정 취소 또는 해제는 보기 클릭 ≫ 틀 고정 클릭 ≫ 틀 고정 취소를 클릭하면 됩니다. 행과 열을 동시에 고정했을 때에도 고정 취소 또는 해제 절차는 동일합니다.     

틀 고정 취소 위치
틀 고정 취소

행과 열을 지정하여 고정

첫 행이 아니라 행을 지정하여 고정할 때는 고정하고자 하는 행의 바로 아래 행 번호를 클릭합니다. 아래표의 4번 행을 고정하고자 하면 5번 행의 번호를 전체 클릭합니다. 그다음 보기 클릭 ≫ 틀 고정 클릭 후 나오는 팝업창의 틀 고정을 한번 더 클릭하면 됩니다. 

보기, 틀고정 위치
보기와 틀 고정

4번 행이 고정되어 엑셀표의 내용을 위로 올려도 4번 행까지의 내용은 변화가 없습니다. 

4번 행을 고정한 엑셀표의 내용을 위로 올리는 모습
4번행 고정

첫 열이 아니라 A, B열까지 고정을 하고자 할 때는 C열을 전체 클릭한 후 틀 고정을 클릭하면 됩니다. 

C열 번호지정과 틀 고정
B열 틀 고정

C열 이후의 열들을 왼쪽으로 이동하여도 A, B열은 고정되어 있습니다. 

B열 틀 고정 후 C열 이후의 열들을 왼쪽으로 이동하는 모습
B열 고정

행과 열을 동시에 고정하는 방법은 특정 셀을 선택한 후 틀 고정을 하는 것입니다. 선택할 특정 셀의 행은 고정하고자 하는 행의 바로 아래 행이고, 특정 셀의 열은 고정하고자 하는 열의 바로 오른쪽의 열입니다. 4번 행과 B열을 동시에 고정하려면 5번 행, C열의 셀을 선택한 후 틀 고정을 하면 됩니다. 

5번행, C열의 셀을 선택한 모습과 틀 고정
행과 열 동시 고정

4번 행과 B열이 동시에 고정되었습니다. 

4번 행과 B열을 동시에 고정 후 엑셀 내용을 상하좌우로 이동하는 모습
4번 행, B열 고정

엑셀 틀 고정 인쇄

엑셀로 작성한 문서의 양이 많을 때, 항목 별 제목(또는 카테고리)을 틀 고정하고 문서를 인쇄하더라도 인쇄된 문서는 틀 고정이 안 된 형태로 나옵니다. 틀 고정이 된 형태로 인쇄를 하려면 페이지 레이아웃을 클릭한 후 페이지 설정 항목에 있는 화살표 아이콘을 클릭합니다. 화살표 위의 인쇄제목을 클릭해도 됩니다. 

페이지 레이아웃, 화살표, 인쇄제목 위치
페이지 레이아웃

페이지 설정 팝업창이 뜨면 시트를 클릭합니다. 인쇄 제목 항목에서 인쇄 시 반복할 행과 반복할 열을 지정할 수 있습니다. 반복할 행에 커서를 위치한 다음 반복할 행을 마우스로 지정하고, 확인을 클릭하면 인쇄 시에도 틀 고정이 된 형태로 인쇄가 됩니다. 반복할 열도 동일하게 하면 됩니다. 

페이지 설정 팝업창과 반복할 행과 반복할 열 입력 위치
페이지 설정

엑셀 틀 고정과 틀 고정한 엑셀 인쇄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엑셀로 문서 작업하는데, 도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 

 

카카오계정 2개 만들기, 카카오게임 카카오페이지 활용

카카오는 사람들이 많이 사용하는 카카오톡 이외에도 카카오내비, 카카오페이지, 카카오게임즈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이러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로그인 아이디가 카카오 계정

generalistpark.tistory.com

 

반응형